728x90

"광관 비계"는 건설 및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비계의 한 종류입니다. 광관 비계는 일반적으로 강철이나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광관과 연결 요소로 구성되며, 안전한 작업 플랫폼을 제공하고 공사자가 높은 곳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 아래에서 광관 비계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:

1. 광관 비계 구성 요소
   - 광관 : 주로 원형 강관 또는 알루미늄 파이프로 만들어진 수평 및 수직 구조물입니다.
   - 연결 요소 : 광관을 연결하고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부품과 소모품, 예를 들어 커플러, 클램프, 핀 등이 포함됩니다.
   - 보수 구조 : 비계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다리 또는 브레이싱과 같은 보조 구조물이 있습니다.
   - 작업 플랫폼 : 공사자와 재료가 안전하게 이동하고 작업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.

2. 용도 및 적용 분야
   - 광관 비계는 주로 건물 건설, 수리 및 유지 보수, 외벽 작업, 도로 건설, 교량 건설 및 정비 작업 등 다양한 공사 분야에서 사용됩니다.
   - 건물 외벽을 기준으로 설치되며, 작업자들이 높은 곳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.

3. 특징
   - 광관 비계는 모듈식 구조로 쉽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어 다양한 공사 현장에 적응합니다.
   - 안정적이며 강화된 구조로 공사자의 안전을 보장합니다.
   - 미끄럼 방지 플랫폼과 안전 가드레일을 갖추어 작업자들의 안전을 강화합니다.

4. 안전 및 규정 준수
   - 광관 비계 설치 및 사용 시 관련 규정과 안전 가이드라인을 엄격히 준수해야 합니다.
   - 작업자는 안전 모자, 안전 벨트, 안전 구두 등을 착용하고 안전 절차를 준수해야 합니다.

 

5. 시공기준

   - 비계기둥 간격은 띠장방향 1.5-1.8m, 간사이방향 0.9-1.5m로 한다.
   - 띠장 간격은 1.5m 내외, 지상 제1띠장은 지상으로부터 2m 이하에 설치한다
   - 장선의 간격은 1.5m 이내로 한다.
   - 가새의 간격은 15m 내외, 각도는 45°로 하고 비계기둥 및 띠장에 결속한다.
   - 비계는 수직 및 수평방향 5m 내외 간격으로 구조체에 긴결하고 밑받침철물을 사용한다. 단, 연약지반의 경우는 소요폭의 깔판을 비계기둥과 3본 이상 연결 되도록 깔아 댄다.
   - 비계기둥 간격이 1.8m일 때는 하중은 400kg을 한도로 하고, 1.8m 미만일 때는 그 역비율로 하중한도를 증가시킨다.
   - 바닥층수 3층일 때 비계기둥 1본당 하중한도는 700kg으로 한다.

광관 비계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건설 및 유지 보수 작업을 지원하는 중요한 장비 중 하나입니다.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은 항상 우선 고려사항이어야 하며, 규정과 안전 지침을 준수하여 작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반응형

'01. 이론 > 01) 가설공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가림막.  (0) 2023.09.06
비계 발판.  (0) 2023.09.04
광관틀 비계.  (0) 2023.09.04
가설 피뢰침.  (0) 2023.08.31
용수시설.  (0) 2023.08.31

+ Recent posts